반응형
경기도에 거주하며 중소·중견기업, 소상공인, 비영리법인에서 36시간 이상 근무하는 청년이라면, 청년복지포인트를 통해 연 120만 원 상당의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오늘은 신청 조건, 지원 내용, 유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목차
1. 사업 개요
경기도일자리재단이 운영하는 청년복지포인트 사업은 경기도 내에서 일하는 청년 노동자의 복지·문화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연간 최대 120만 원 상당의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- 운영 기관: 경기도·경기도일자리재단
- 지원 형태: 포인트 지급 후 청년몰에서 사용 가능
- 지급 횟수: 연 2회 분할 지급
2. 지원 대상 및 자격 기준
- 연령: 만 19세 ~ 39세 (군복무 기간 인정)
- 거주지: 신청일 기준 경기도 거주
- 근무조건:
- 경기도 소재 중소·중견기업, 소상공인, 비영리법인 재직
- 주 36시간 이상, 6개월 이상 근무
- 육아기 단축근로 15~30시간도 예외 인정
- 소득기준: 최근 6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127,195원 이하
- 중복제한: 유사 청년복지 지원사업 참여 시 1년 이내 신청 불가
- 제외대상: 공공기관, 휴직자, 사회복무요원, 해외파견자 등
3. 지원 내용 및 지급 방식
중간 후킹: “경기도에서 일하고만 있어도, 쇼핑·문화·여가에 쓸 수 있는 혜택이 연 120만 원!”
- 지원금액: 연 최대 120만 원 상당 포인트
- 지급형태: 포인트 지급 → 청년몰 사용
- 지급시기: 2회 분할 (상·하반기)
4. 신청 절차 및 제출 서류
- 자격조건 확인 (자가진단)
- 잡아바 회원가입 및 로그인
- 개인정보·마이데이터 동의
- 본인 인증 (휴대폰/아이핀)
- 인적사항 입력 및 증빙서류 첨부
- 재직 및 근무 정보 작성 (고용보험 기준)
- 증빙서류 업로드 (재직증명서, 건강보험료 납부서 등)
- 타 사업 중복 여부 확인
- 최종 제출 후 접수 상태 확인
필요 서류
- 주민등록초본
- 재직증명서, 고용보험 자격내역서
-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
- 근무확인서 등 추가 증빙
5. 유의사항 및 참여 팁
- 연령·거주·근무 조건 불충족 시 자동 탈락
- 중복 참여 여부 반드시 확인
- 마이데이터 동의 시 일부 서류 제출 생략 가능
- 마감 직전 신청은 접속 지연·오류 가능성 높음 → 여유 있게 접수
6. 정리 및 활용 포인트
- 누가 받을 수 있나요? 경기도 거주 19~39세 청년, 중소기업·소상공인 재직자
-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 연 최대 120만 원 포인트
- 어떻게 신청하나요? 잡아바 가입 → 자격확인 → 서류 첨부 → 최종 제출
- 주의할 점은? 중복사업 확인, 서류 정확성, 마감 전 접수 필수
마지막 후킹: “신청만 하면 당신의 일상이 달라집니다.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, 지금 바로 도전하세요.”
반응형